[ 밀리터리 / 특수부대 / 군인 ] 저격수 훈련 - 탄도학 시뮬레이션
반갑다 게이들아! 벌써 주말이 끝나가는 저녁이다.
가끔 저격수의 대해서 허망한 로망을 꿈꾸는 게이들이 있을텐데 간단한 게임으로 현실을 파악해보자,
위 사이트는 실제로 탄도학의 적용되는 물리학을 시물레이션화 한 사이트다.
말 그대로 탄도학 시물레이션이다, 위 시물레이션은 게이들이 생각하는 게임에서 나오는 것처럼 조준점 위에다 올려둔다고 총알은 그쪽으로 박히지 않는다.
거리,풍속,습도등이 사격에 모두 고려되기 때문이다. ( 실제 저격에서도 한발의 사격을 위해서 3일 밤낮 자지 않고, 거리,습도,풍속,풍향,이슬점
등을 세세하게 고려해야한다. )
아무튼 들어가보면 일단 다 영어에다가 처음보는 방정식들 모두 난해할꺼다. ( 아무생각없이 그냥쏘면 이상한곳으로 탄착점이 생기는걸 볼수있다. )
감도 안잡힐 게이들을 위해서 계산하기 위한 방정식과 비례식 세우는법도 알려준다.
자 그럼 바로 써먹을수 있도록, 사이트에 나와있는 레벨 A를 기준으로 거리 및 풍향 탄도 계산법을 서술하겠다.
------------------------------------------------------------------------------------------------------------------
0) 인터페이스 설명. ( 준비물 : 계산기, 메모장 )
타켓의 신장 72 Inch -> 1.8m (위너) = 2 Yard
거리구하는 공식표/ ( 미터, 야드, 인치 에따라서 분리함. )
PDA - 풍향,풍속,온도,습도,기압등을 나타냄.
간단한 설명이다. 해석하자면 타켓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며 , 각도차는 0도로 직선상에 위치한것이다, 만약 각도가 달랐으면 삼각법을 이용해서
공식이 더욱도 복잡해질것이다. 고도는 1840ft 대략 560M 정도 된다.
쓰는 탄환의 재질이다. 우측은 실제모델.
영점조절칸이다, 순서대로 상하탄도, 좌우탄도. (clicks 는 돌린횟수이며 minutes가 실제 영점조절칸이다.)
자 기본적인 지식들을 습득했으면 이제 실전으로 들어가보자.
1) 거리구하기
우선 게임화면 좌측중간을 보면 이상한 공식들이 써 있을꺼다. 여러 조건에 계산법인데, 단위를 무엇으로 대입하냐에 따라서 방정식이 다 다르다.
우선 가장 계산하기 편한 첫번째 공식으로 거리를 구해보자.
Size of target in yard X 1000 / MIL reading -> 타켓의 사이즈 ( 야드로 계산 , 72inch로 정해져있으므로 = 1.8m 약 2 Yard ) X 100 / 타켓의 눈금 크기.
= Range ( 거리 )
우선 타켓의 눈금크기 즉 MIL이랑 말그대로 스코프의 MIL 로 타켓을 측정했을때 나오는 값이다.
타켓의 신장은 72Inch로 나와있으니 단위를 변환해주면 약 2yard(1.8M)가 된다. 벌써부터 분자의 들어갈 수를 알수 있다. 2(yard) X 1000 = 2000
위 사진에 나와있는 타켓의 MIL 눈금이 대략 2.8 MIL 정도 되니 2000/2.8 = 714.285714286...(yard) 라는 값이 산출된다.
타켓과 사수의 거리는 약 714(yard).
거리를 구했으니 이제 탄도낙차를 구해보자.
2) 상하탄도 구하기.
친절하게도 좌측을 보면 탄도테이블이 있다.게이들이 초등학교때 졸지만 않았으면 알수있는 비례식을 이용해서 클리크즉 상하영점조절을 잡아보자.
750-700 : 21.7-19.4 = 714-700:X(클리크값)
-> 50:2.3=14:X
->(내항의 곱)=(외항의 곱)
->32.2=50X 즉 X의 값은 근사값인 0.644 MOA elevation 이 나온다. 이 값은 14yard 값이 0.644 moa 만큼 영향을 끼친다는 소리.
즉 700 yards 값의 더해준다. -> 19.4+0.644 = 20.044 대략 20 MOA elevation 이다. 자 키보드 상하키로 20 MOA를 맞춰주자.
(* click 값을 맞추는게 아니라 우측 minutes값을 맞춰야함. )
3) 좌우탄도 구하기
자 우선적으로 상하 영점조절을 맞춘상태. 이제 눈을 돌려,
자동화 계량기에 초점을 맞추자. 일명 PDA 라고도 불리는 군용 계량기다.
지금 사수가 사격하는 환경의 조건이다. 지금 사수의 환경은
온도는 약 106'F 약 41.6'C 의 환경이다. 풍향은 북동풍이고 풍속은 약 6 MPH (Miles Per Hour), 습도는 23%로 건조한 상태이다.
기압은 29.53 Bar 로 대략 29.143 ATM 정도다.
다시 테이블 표로 가서
맨 오른쪽에 위치한 Inches drift 1 mph wind 즉 거리에 따라서 1mph 당 탄의 휘는 면적이다. 거리가 멀수록 영향을 크게 받으며, 실제 저격에서도 가장
변수가 많은 부분이여서, 저격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자 다시 아까 썻던 비례식을 그대로 써주자.
750-700:4.5-3.9 = 714-700:X
->50:0.6=14:X
->7.2=50X X 값은 0.144가 나온다. (즉 14yard에서 1mph당 0.144Inch로 휜다는 소리)
700+14 (yard) 이므로 3.9+0.72 = 4.62 ( 714yard 에서 1mph 당 4.62Inch로 탄도가 휨)
여기서부터 중요한데 아까 PDA 에서는 5mph 라고 하였으니 곱해준다.
4.62 X 5 = 23.1
그리고 풍향을 봐준다.
여기서 기준점은 북쪽 N 을 1로 잡으며 시계 방향으로 값이 줄어든다.
PDA가 가르키는 풍향은 북동쪽이므로 대략 0.75. 나온값에 곱해준다.
23.1 X 0.75 = 17.325
드디어 좌우탄도가 나왔다. 하지만 여기서 한자리를 소수점으로 빼준다. (스코프와 영점값이 1/10 차이나므로, 실제 휘는것은 나온값의 1/10이다.)
그러면 약 1.7325 근사값은로 1.75로 봐주자. 자 이제 좌우 방향키로 영점을 조절해주자.
이제 자신있게 스페이스바 아니면 마우스로 방아쇠를 당겨준다.
경쾌한 타격음과 함께 타켓이 넘어갈것이다.
자 뿌듯해하기전에 이제 검사를 해보자. 실제거리와 탄착점이 나타난다.
(실제거리는 648 m 즉 710 yard 로 구한 값이 714 yard 와 4 yard 차이밖에 나지않는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A ~ J 까지 100점에 도전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