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공군 로고
프랑스 공군의 알파제트 훈련기 파일럿
프랑스가 독자개발한 라팔이다.존나 안 팔려서 라팔아 라는 말이 밀덕들 사이에서 떠돌기도 했는데 인도에 팔렸다.프랑스 공군은 96대 보유.더 도입할 계획이다.
팔렸니
아니오
프랑스가 70~80년대에 독자개발한 미라지2000 전투기.40대를 운용중인데 조만간 라팔로 다 대체할 거라고 한다.
위에 미라지2000을 개량한 미라지2000n/d다.d형 63대,n형 23대 총 86대 보유.전투기는 이게 다임.참고로 프랑스는 유파 없다.유파 개발 도중에
탈퇴해서 독자개발한 전투기가 바로 라팔이다.그리고 미라지f1 왜 없냐는 게이들도 있을 수 있는데 프랑스 공군에서 미라지f1 2014년 6월에 다 퇴역함.
미국한테 도입한 e-3f 조기경보기.4대 운용.
독일제 c-160 수송기를 개조해서 정보수집기로 쓴다.c-160g라고 부른다.2대 보유.
미국으로부터 도입한 kc-135 공중급유기다.14대 운용중인데 이게 오래된 비행기다.이 공중급유기가 보잉707이라는 민간여객기를
베이스로 개발됐는데 애초에 보잉707이 50년대에 개발되서 79년에 단종된 비행기다.그러다보니까 프랑스는 에어버스의 a330mrtt라고 더 크고
좋은 공중급유기 도입해서 다 대체한다고 한다.
이건 1979년에 찍힌 사진.다시 말해서 오래된 비행기라는 소리지.
이건 아랍에미리트 공군의 a330mrtt
독일제 c-160수송기다.소형이고 저번에 독일 공군 소개할때도 썼는데 이거도 오래된 비행기다.미제 c-130보다도 더 작다.아무튼 프랑스는
이거를 31대를 가지고 있다.요약하자면 오래되고 작은 비행기.
미제 c-130 수송기다.국군도 12대 운용중이다.1956년부터 미군에 배치됐고 지금까지 2300대 넘게 생산된 베스트셀러지.
프랑스 공군은 14대 운용중이다.
1982년에 개발 시작해서 30년이 넘는 개발기간끝에 마침내 2013년부터 배치되기 시작한 에어버스 a400 수송기다.유럽 입장에서는 최신형 수송기지.
프랑스는 50대 주문했는데 현재 6대를 굴리고 있다고 한다.그리고 프랑스는 이거 50대로 위에 c-160,c-130 45대 다 대체할 생각이다.
독일하고 스페인이 공동개발한 cn-235임.프랑스 공군은 수송용으로 27대를 쓰는데 상당히 작은 소행 비행기다.딱히 언급할 건 없고 베스트셀러다.
프랑스가 70년대에 개발한 알파제트 고등훈련기 겸 공격기다.프랑스 공군은 훈련기로 씀.현재 69대 운용중이다.
영화 로드오브워에서 에단 호크가 이 비행기를 타고 니콜라스 케이지가 탄 소련제 수송기 an-12에 기관총을 사격하는 장면이 있지.
브라질제 emb-121 훈련기다.23대 보유.
자국산 d-140훈련기 17대
자국산 tb-30훈련기 33대.그리고 사진을 못 구했는데 오스트리아제 hk-36이라는 프로펠러기도 5대 운용중이다.
자국산 ec-725헬기 10대.수색,구조용으로 운용.
자국산 as-532헬기 10대.수색,구조용.
해외에도 수출 많이 된 sa-330이다.60년대에 개발됐고 87년에 단종된 헬기인데도 아직 20대가 수송용으로 쓰이고 있다.
얘는 as-555라는 헬기인데 얘도 수송용임.훈련용으로도 쓴다고 한다.40대 운용중.
참고로 위에 헬기는 전부 프랑스 자국산.그리고 유로콥터 타이거 공격헬기는 프랑스 육군항공대 소속.
<요약>
전투기:라팔 96대,미라지2000 40대,미라지 200n/d 86대
총 222대
조기경보기,정보수집기:e-3f 4대,c-160r 2대
총 6대
공중급유기:kc-135 14대
총 14대
수송기:c-160 31대,c-130 14대,a400 6대,cn-235 27대
총 78대
훈련기:알파제트 69대,emb-121 23대,d-140 17대,tb-30 33대,hk-36 5대
총:147대
수색,구조헬기:ec-725,as-532 각각 10대
총 20대
수송헬기:sa-330 20대,as-555 40대
총 60대
그 외:전 세계에 외국 도움 없이 스스로 전투기 개발 가능한 나라가 딱 4나라인데 프랑스가 그 중 하나다.(나머지는 미국,러시아,스웨덴)
또 프랑스는 한 때 700대가 넘는 전투기를 보유했지만 현재 다른 유럽 국가들도 그렇듯 군축중이다.그리고 프랑스의 2013년 국방비는
612억 달러로 미,중,러,사우디에 이어 세계 5위이며 이는 그 당시 339억 달러였던 대한민국의 거의 2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