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차 세계대전 후반, 독일은 제공권을 장악당하여 영국본토를 제대로 폭격할수 없었으며,

바다위의 유보트는 영국을 고립시켜 항복을 얻어낼 기회를 잃은지 오래였다. 히틀러는 신무기 개발 에 몰두했다.

그 신무기는 연합군의 전투기들보다 속도가 빠르고, 영국 본토의 상공을 지키는 방어막을 뚫을수 있어야했다.

그러한 신무기가 개발된다면 독일은 영국을 압박할수있었다.

 

연합군에게 폭격당해 폐허가 된 독일, 히틀러는 영국에 복수를 하기위해 V-1과 V-2개발에 주력하였다.

V는 여기서 독일어로 '보복병기'를 뜻하는 Vegeltungswaffe(페르겔퉁스바페)이다.

 

 

 

비행폭탄 V-1 (출처: 위키백과 영문판)

 

 

 

독일의 박물관에 전시된 V-1미사일 (출처: 위키백과 독일어판)

 

 

신무기를 원하는 히틀러의 바람에 개발된 V-1미사일은 언뜻 보기에는 단순한것 같아보인다.

제작비용도 소형 자동차 1대 값 수준이었다. 그러나, 900Kg의 폭탄을 싣고 240Km를 날아가 목표지점의 반경 5Km내에 떨어지는 시대를 앞선 무기였다.

V-1은 지대지 미사일로 개발되었으며 주 목표는 영국의 대도시들, 특히 런던이었다.

 

 

V-1의 원래 명칭은 Fi-103(피젤러-103)으로, 펄스제트엔진을 동력원으로 쓰고 가솔린 엔진을 연료로 쓰는 무인 항공기이자 지대지 미사일이었다.

작동하는데 산소가 필요하였고, 동체의 앞부분에는 900kg의 폭탄을 실었고, 중앙에는 연료탱크, 그리고 9개의 제트분사장치로

연료를 보내는 2개의 압축에어버튼이 연결되어있었다. 강철로 제작된 추진장치는 기체의 후미에 위치해 있었으며, 날개는 압축 강철로 만든

소골위에 얇은 강철외피를 덮어 만들었다.

 

 

 V-1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출처: 위키백과 영문판)

 

유도방식은 간단하였다. 목적지를 향해 비행하다가 목표 로켓 앞부분에 달린 프로펠러를 이용한 거리 측정기로 일정거리까지

비행한 후 엔진구동을 중지시키고 떨어지는 방식으로 목표물을 공격하게 되는것이었다.

경사진 발사대 위에 V-1을 올려놓고, 관제실에서 V-1의 발사명령을 내렸다.

 

독일은 혹시나 V-1이 (그럴일은 없었겠지만) 땅으로 떨어지고도 폭발하지 않았을때를 대비해 기수 부분과 탄두아래에 스위치를 하나씩 설치하였으며

엔진이 꺼진뒤 2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폭발  되도록 시한폭탄 장치까지 설치해 놓았다.

 

 

V-1을 개발하게 되면서 독일은 위험을 감수하고 영국 본토로 폭격기를 보내지 않아도 되었으며, 또한 V-1은 가성비면에서 매우 훌륭한 무기였다.

 

 

 

영국본토

항공전 

  V-1

1. 독일이 지불한 비용
작전 횟수 90,000 8,025
폭장 톤수 61,149 14,600
연료 톤수 71,700 4,681
항공기 손실 3,075 0
인력 손실 7,690 0
2. 결과
피해를 입은 민가 수 1,150,000 1,127,000
사상자 수 92,566 22,892
사상자/폭장 비율 1.6 1.6
3. 영국이 치른 방어 비용
작전 횟수 86,800 44,770
항공기 손실 1,260 351
인력 손실 2,233 805

 

(출처: 위키백과 영문판  http://en.wikipedia.org/wiki/V-1_flying_bomb)

위의 자료는 독일의 런던 공습과 V-1을 이용한 공격을 비교한 것으로, 사람이 탑승하지않는 V-1은 당연히 인력손실이 '0'이었다.

 

독일이 영국에 발사한 V-1은 약 8000대이며, 그중 약 6000대가 영국 해협을 건너 영국상공에 진입하였으며, 그중 약 50%가 격추당하였으나, 그 나머지 V-1에게

영국이 입은 피해는 사뭇 심각했다. 특히, 런던에는 2000발 정도가 떨어졌는데, 완전히 파괴된 집만 2만3000채, 이를 포함해 수백만 가구가 피해를 입었다.

민간인은 6000여명이 사망, 1만7000명은 부상을 입었다.

 

런던 상공을 비행중인 V-1(출처: 묻지마 검색) 이 사진을 찍은 사람의 심정은 어떠하였을까?

 

V-1이 영국 시민들에게 끼친 피해는 이뿐이 아니다. V-1은 특유의 제트엔진 소리를 내며 비행했는데, 목표지점의 상공에 도달하면 저절로 꺼졌으며

그 소리역시 들리지 않게되었다.  즉, V-1의 엔진소리가 들리다가 갑자기 꺼지면 영국시민들에게는 나 자신 혹은 다른 사람의 머리위로 V-1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것이다. V-1이 야간에 발사되기 시작하면서, 제트엔진 소리가 밤에도 그치질않아 불면증과 정신 질환에 시달리기도 하였다.

 

 

영국은 물론 당하고만 있지는 않았다.  독일 V-1의 폭격이 있기전에 부상자 발생시 신속한 대처를 하기위해 모든 병원을 비워뒀으며,

영국 시민들은 2차 대전 초에 그들이 독일 공군의 폭격을 견뎌낸것을 떠올리며 정신적으로 무장을 하고 폭격을 버텨내었다.

 

또한, V-1은 시속 410Km에서 640Km의 속도를 내었는데, 영국군은 V-1이상의 속도를 낼수있는 템페스트, 스핏파이어, P-51무스탕을 보유하였다.

그리고 V-1의 비행고도는 고도 240m에서 750m로 저공비행을 하는 편이었으므로 공군을 동원해서 격추할수있었다. 다만, 작은 V-1을 격추하기위해

가까이 다가가면 V-1이 폭발할때 폭발에 휘말릴 위험성도 있었고, 또다른 방법으로는 V-1에 가까이 접근해서 날개를 건드려서 떨어뜨리는 것이 있었는데,

이 역시 위험부담이 따랐다.

 

V-1의 날개를 건드려서 격추를 시도하는 장면(출처: 위키백과 영문판)                                          

 

 

공군을 동원하는것 외에도 대공포를 이용해 격추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사정거리내에 든 V-1의 70%를 파괴하는 전과를 올렸으며,

런던 상공에 2000여개의 열기구를 띄워올려 V-1 약 300대가 발목이 잡혀  추락하였다.

 

 

V-1을 운반하는 V-1 운반팀(출처: 묻지마 검색)

 

 

이후 1945년 1월에 연합군이 모든 V-1기지를 점령하고 V-1발사팀이 모두 철수하면서 런던은 한동안 V-1의 공격을 받지 않게되었다.

대신에 독일은 앤트워프를 새로운 타겟으로 정했다. 앤트워프는 주요 항구들이 위치한 벨기에의 도시이며 2차대전 후반에는 연합군 물자수송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독일은 연합군의 진격을 막기위해서 앤트워프를 파괴해야했다.

 

연합군도 이를 잘 알고있었다. 그래서 앤트워프-X 라는 대비책을 마련한 상태였다.

또한, 수비대도 편성하였는데, 그들의 전략은 V-1의 비행방향을 포착한뒤 그쪽으로 포병부대를 보내서 V-1에 대한 대공사격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최전선에 위치한 부대는 V-1의 이동경로를 정확히 파악하여 정보를 공유하였으며, 제일 앞에 있는 포병부대가 격추에 실패해도 그 뒤에는 다른

포병대가 위치하고있었으며, 포병대가 몇겹으로 방어막을 형성하는 곳도 있었다. 때문에 격추율은 높았다.

 

1945년 2월 경에는 V-1의 공세가 더욱 강화되어 발사지점을 북쪽으로 변경하여 V-1의 비행 거리는 더욱 짧아졌지만 앤트워프를 방어하는

포병대가 워낙 두터웠기 때문에 V-1 격추율은 상승하였다. 결국, 독일의 앤트워프 폭격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45년 3월에는 독일이 항공기에서 V-1을 발사하는 방법을 쓰면서 런던이 잠시 폭격을 당하였다.

 

 

독일의 쌍발 폭격기  하인켈 He-111에 탑재된 V-1 미사일(출처: 위키백과 영문판)

 

 

그 후로, 시간이 지날수록 연합군의 진격에 오히려 독일 본토를 사수해야할 처지가 되자 독일은 절박해졌고, 기어이 사람이 탑승하는

자살기로 개조하여 시제기까지 만들었으나, 다름아닌 히틀러의 반대로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

 

 

 

1951년에 미국 전함에서 발사되는 V-1(출처: 위키백과 영문판)

 

V-1은 2차 세계대전 후기에 뒤늦게 사용되기 시작한 아쉬운 명작이다. 전세가 악화되자 히틀러가 뒤늦게 관심을 가져 2차 대전 후반기에

사용이 시작되었으며 V-1이 영국에 입힌 피해는 심각하였지만 영국을 굴복시키지는 못하였다. V-1은 여느 독일 비밀병기가 다 그렇듯 연합국의

손에 넘겨져 연합국의 순항 미사일 개발의 시발점이 되어 순항 미사일의 아버지로 역사에 남게되었다.

 

 

 

인용 및 참고자료

 

EBS 다큐 2차 대전사 08부 독일의 신무기

 

위키백과 영문판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