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부속병동 학살사건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조선인민군이 처음 서울을 점령한 직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現 서울대학교병원)에 난입하여 벌인 대규모 학살 사건.
(1950.6.28)
북괴군은 1950년 6월 25일 기습적으로 남침을 한다.
대비하지 못한 국군은 무참하게 밀리게 되고,
전방 전선에서 교전을 하다 부상을 입은 부상병들은 대다수가 '서울대학교 부속병동'으로 후송된다.
당시 서울대병원은 심한부상을 입은 중환자들로 가득했고, 의사와 간호사들의 수는 턱없이 부족했다.
6월 28일 아침 9시
결국 조선인민군이 서울 미아리를 뚫고 중앙청을 지나,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으로 들이 닥친다.
이때 병원을 끝까지 지키던 국군 1개 소대가 결국 전멸을 하게 된다.
소대장 남 소위, 선임하사 민 중사, 부대원 전부가 약 1시간만에 전멸을 한다.
당시 서울대병원은 현재 대 본관이 있는 자리에 1 , 2 , 5, 6동의 병동이 있었고, 침대수는 800석이었다.
(현재는 4개의 병동이 사라지고, 대형 빌딩이 있다.)
조선인민군은 병력을 산개시켜 병원에서 누구도 나가지 못하게 했다.
"원수놈들의 앞잡이가 여기 누워있다."
한 북한군 중좌가 선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월북했던 의사가 북한군 군의관이 되어서 북괴군을 따라 다니며
학살할 대상에 대한 정보를 세세하게 알려주기 시작한다.
곧 북괴군은 병동의 출입구를 봉쇄하고
병실마다 돌아다니며, 따발총으로 국군 부상병들을 학살하기 시작한다.
환자중에 권총을 가진 간부들은 북괴군과 교전을 하다 전사를 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된다.
당시 병동에 있는 모든 병실에는 남는 자리가 없어
6명이 입원하는 병실에 평균 30여명이 누워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북괴군은 생산적인 학살 방법으로
병실마다 돌아다니면서 학살을 하는 대신에
병실에 있는 환자들을 모두 끌어모아서 입원실구석에 몰아넣어 따발총으로 난사를 한다.
그리고 총검으로 아직 죽지 않은 환자들을 찔러서 죽였다.
총소리 등으로 난리가 나자, 부상병들과 환자들은 도망을 치게 되지만
그대로 북괴군 보초들에게 살해되고
서울대병원에 있는 정신병동도 학살당하게 된다.
특히 이곳은 총알을 아끼기 위해 잔인하게 모두 총검으로 찔러 죽였다.
북괴군은 병사 뿐만 아니라, 환자가족, 일반 환자까지 보이는 대로 모두 죽였다.
학살은 세시간동안 이어졌지만, 북괴군은 추가로 정밀 수색을 실시하게 되고
이곳저곳에서 잡힌 사람들은 본보기로 삼아서
병원 보일러실 석탄 더미에 생매장 시킨다.
학살 후
시체들은 20여일이나 지날때까지 부패하며 버려지고,
창경원 인근으로 옮겨지게 되고 소각된다.
당시 서울대병원에서 학살된 사람들의 수만 대략 1000여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학살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9.28일 서울이 다시 수복되기 전날
불순분자, 비협조자로 분류 되었던 100여명을 또다시 학살하고 떠난다.
서울대병원 내에는 당시의 희생자들을 위한 '이름 모를 자유전사의 비' 가 세워져 지금도 당시의 참극을 웅변하고 있다. 한국일보사의 "전국 반공 애국유적 부활운동"의 일환으로 1963년 7월 29일에 세운 것이다.
이름도 모를 부상병, 입원환자.
이들을 지키던 군인 시민투사들이 참혹히 학살되어 마지막 조국을 부른 소리 남겼노라
그들의 넋은 부를 길이 없으나 길게 빛나고 불멸의 숲속에 편히 쉬어야하리
겨레여 다시는 이 땅에 그 슬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말게하라.
(자유전사의 비에 쓰인말)
'겨레여 다시는 이 땅에 그 슬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말게 하라.'
본래는 추모비만 남아 있었으나 이곳을 우연히 지나는 한 시민이 이 비석을 보고 애통하게 여긴 나머지 자신의 사비를 들여 매년 제사를 지내왔다. 그러다 종로구 보훈단체에서 위령제를 지내기 시작했다. 이와 별개로 매년 6월 5일에는 서울대학교 병원 주관으로 별도의 위령제가 개최되고 있었는데, 2014년부터 별도 추모행사로 통합되어 매년 6월 28일을 전후해 개최되고 있다.
(역사적 기록)
(서울 대병원에 보관중인 유골)
-3줄요약-
1. 6월 28일 아침 9시 북괴군의 서울대병원 학살
2. 북괴군은 대한민국 군인뿐만 아니라 군인의 가족, 의사, 간호사,
일반 환자, 아이들을 포함한 일반 시민들까지 모두 학살했다.
3. 잊고 있는 사람이 많다. 북괴의 이런 만행을 잊지 말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