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은 동물이지만 다른 제목으로 쓰기엔 어감이 이상해서 이렇게썼다. 이해앙망
재밌게 읽어주라.
ㅡ
카멜레온
카멜레온을 자세히 연구하기 전 까지만 해도
연구자들은 피부색소가 변해서 몸의 색깔이 변한다고 생각함.
이 비슷한 현상이 양서류,파충류 그리고 물고기 한테 까지 나타났기 때문임.
그런데
스위스 제네바 대학연구팀이 이 비밀을 알아냈음.
" 카멜레온 피부의 수정체가 빛을반사하기 때문에 색이바뀐다 "
수정체가 방향을 바꾸며 반사되는 빛의 파장도 바뀐다고 설명했다.
피부색 말고 중요한 무기가 하나 더있다.
바로 카멜레온의 혀 다.
( FACT )
- 카멜레온의 혀는 자기몸의 1.5 배 까지 뻗을수 있다.
- 위 사진은 실제 속도보다 60배 느리다.
전기뱀장어
아마존의 전기뱀장어는
2M 남짓한 몸길이의 80 % 이상이
전지와 같은 역할을 하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이 뱀장어는 600V 의 전류를 내며 최고 850 V 까지 가능하다.
아쉽게도 전기를 내는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고속 촬영으로 사냥 모습을 살펴보니
뱀장어는 먹이가 접근하면 0.015 ~ 0.01 초 동안 고압 전류를 400회 방출한다.
연구진은 이 모습이 테이저건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 테이저건 1초에 19 번 방출.
- 뱀장어 1초에 400번 방출.
( FACT )
- 패러데이와 볼타가 자신의 연구에 참고한 물고기이다.
메기
( FACT )
사람에게 미각이 있다면, 메기에게는 미뢰가 있다.
메기는 온몸이 미뢰로 덮혀있다.
메기는 미각,청각이 특히 발달해 있는데, 이걸 이용해 먹잇감을 찾는다.
딱따구리
딱따구리는 약 200종류가 있으며
나무를 1초에 약 15번 쫀다고 한다.
연구진들은
딱따구리가 이러한 엄청난 충격을 견디기 위해
머리에 어떤 장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 비밀을 알기위해 해부한 결과.
딱따구리의 두개골과 부리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가 있다는걸 알게되었다.
또 한가지 놀라운 사실은.
종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딱따구리의 혀가
이렇게 생겼다는 점이다.
얼룩말
오래전부터 과학자들은 얼룩말에 무늬가 왜 있는지 궁금했다.
자신들을 숨겨줄 나무 하나 없는곳에 이렇게
화려한 무늬가 있으면 포식자들의 눈에 더 잘 띄지않나 라는 의문을 품게했다.
여러 가설들이 있었다.
- 짝짓기를 하기 위해서이다.
- 사실 저 줄무늬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보호색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가설들은 근거가 받쳐주지 못했다.
그런데
캘리포니아 데이비스 대학 연구팀이 근거를 내새운 가설을 내세웠다.
" 전염병을 옮기는 쇠파리로 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한것이다."
( 쇠파리는 소나 말등에 붙어 피를 빨고 알을 깐다. )
얼룩말과 말, 당나귀의 지리적 분포, 지역별 얼룩말 무늬의 패턴,
서식지의 기온과 지형, 천적의 범위, 쇠파리 서식 지역 등 다양한 변수들을 조사한 결과.
쇠파리들이 많이 사는 곳일수록 얼룩말의 무늬가 더 화려해졌다 라는 결론을 얻게된다.
- 이제 쇠파리들이 왜 흑백 줄무늬를 싫어하는지 밝히면 된다.
벼룩
.
(FACT)
- 벼룩의 높이 뛰기는 근육의 힘에 의존하지 않는다.
- 벼룩은 날개를 스프링처럼 진화시켰다.
- 몸을 수축시킬때 이 스프링도 같이 수축하고 이를 이용해 높이 뛸수있다.
유령게 ( Ghost Crab )
( Fact )
- 귀엽다.
- 크기는 약 5cm
- 껍질에 참기를 슥 둘르고 간장넣고 밥비벼 먹으면 캬
문어
문어는 색소 세포를 가지고 있어 몸의 색깔을 변화시킨다.
색깔뿐만 아니라 감촉도 같이 변화 시킬수 있다.
색 변화를 이용해 자신을 여러 모습으로 변화시킬수 있다.
( 쏠베감팽, 바다뱀, 투구게, 조빱광어 )
문어의 피는 철분이 아닌 구리를 이용하기때문에
- 낮은 온도에서도 피가 얼지 않는다.
- 평소엔 무색이지만 산소와 결합하면 파랗게 변한다.
( 짤이 안보여서 이걸로 대체 대충 이런 느낌일거다. )
문어는 철분이 아닌 구리를 쓰는 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문어는 심장이 세개인 쪽으로 진화했다.
( Fact )
- 문어의 다리중 하나는 생식기이다.
- 세발 낙지/ 낙지도 문어류이다.
에이즈 바이러스
에이즈가 인체의 면역체계에 순응하면서 맹독성이 약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장기적으로는 인체에 무해한 바이러스가 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영국 옥스퍼드대 바이러스 연구팀이
임상 관찰을 한 결과 문제의 바이러스가 점차 덜 치명적이고
감염력도 약한 쪽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 에이즈 바이러스가 인체에서 더 오래 살아남기위해 취한 방법이다.
- 이전엔 에이즈 잠복기가 10년 이었는데, 12.5 년으로 늘었다.
ㅡ
읽어줘서 고맙다 게이들아 !
원글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