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20년 8월 5일 온라인 스트리밍을 통해 <삼성 갤럭시 언팩 2020> 행사를 진행했다.
2020년 신규 상품은 정리하자면 이렇다
-모바일-
갤럭시 Z 폴드 2
갤럭시 노트 20
갤럭시 노트 20 울트라
-태블릿 PC-
갤럭시 탭 S7
갤럭시 탭 S7+
갤럭시 워치 3 - (스마트 워치)
갤럭시 버즈 라이브 - (무선 이어폰)
갤럭시 노트 20 / 노트 20 울트라
5G 네트워크 지원과 현존 최대 강도를 자랑하는 강화 유리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를 탑재하였다.
노트 20와 노트 20 울트라는 각각 4,300mAh와 4,500mAh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충분한 사용 시간을 보장할 뿐 아니라 25W 고속 충전을 지원해 30분 만에 배터리의 50% 이상을 충전할 수 있다.
노트 20는 이번 신제품 라인업의 시그니처 컬러 미스틱 브론즈를 비롯해 그레이, 그린 컬러로 출시되며, 노트 20 울트라는 미스틱 브론즈, 블랙, 화이트 컬러로 제공된다.
전면 카메라를 위해 디스플레이에 아주 작은 펀치 홀이 삽입됐지만 모든 면이 베젤리스에 가깝게 만들어진 것도 눈에 띈다.
특히 노트 20 울트라는 현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최고의 스펙을 자랑한다.
6.9인치 1,440p 올레드 디스플레이, 120Hz 주사율. 퀄컴 스냅드래곤 865 플러스 프로세서, 12GB 램, 추가 SD 확장 기능까지 다른 스마트폰에서 찾아볼 수 없는 고사양을 보여준다.
노트 20는 대부분의 핵심 기능을 노트 20 울트라와 공유하지만, 120Hz의 고주사율 스크린, 마이크로SD 확장과 잠망경 줌 렌즈가 빠졌으며, 6.7인치에 1080p 디스플레이가 탑재됐다.
장점과 문제점
삼성전자의 모바일 장점은 역시 내구성과 괴물 배터리이다. 또한 AS시스템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가져오는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현실적으로 아이폰과 아이폰의 운영체제의 부드러움은 갤럭시와 안드로이드가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아이폰 OS의 폐쇄성으로 인해 어플리케이션 확장성과 개방성이 안드로이드가 훨씬 우월하다.
그래서 하는말이 아이폰이 좋은 스마트폰이지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 자기가 개인용 PC처럼 확장하고 사용하고 싶은 사람 또는 전문가급 스마트폰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스마트폰이 맞다.
아이폰의 디자인이 항상 우월하다 라는 것은아니다. 항상 신작 발표하면 이전작에 비해서 별로다. 아이폰이 죽었다 할만큼 호불호는 항상 있었고, 결국 그 빈자리를 채우고 이쁘고 멋지게 보이게 하는 것은 브랜드 파워와 제품의 성능이다.
하지만 삼성의 갤럭시는 어떠한가, 스마트폰 구매후 시간이 지나면 제품의 속도가 느려지던가, 안드로 운영체제 업데이트 하면 발생하는 오류들. 이러한 점들이 초기 한국기업이기 때문에 삼성을 많이 구매해줬던 고객들이 이제 아이폰으로 점차 옮겨가게 되었다. 한국에서 삼성과 LG 스마트폰 이용자가 줄어들고 애플판매량이 급진적으로 늘어가는 이유이다. 결국 제품의 디자인도 문제이지만 제품의 문제이기도 하다.
블로거 본인의 평가에서 삼성전자가 저번 갤럭시 S20 시리즈의 부진의 이유를 꼽으라면 쓸대없이 5G를 넣어서이다. 반대로 아이폰 11 같은경우 4G까지만 지원한다. 이점이 어떤 큰 차이를 두었냐면, 소비자가 갤럭 S20을 살때 비싼 5G 요금제를 이용하도록 유도당한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기기값도 이미 비싼 실정인데 비싼 5G 요금제까지 맞물리니 갤럭시 S20을 살이유가 굳이 없다.
애초 스마트폰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이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이건 아이폰이건 둘 다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편이고 대다수 사용자는 전화 문자메세지 인터넷 서핑 간단한 SNS가 주된 이용이다. 이정도 사용이라면 4G LTE와 WIFI 정도 탑제하고 CPU 속도만 빠르다면 뭐 충분히 좋다는 말이지.
이번에도 마찬가지이다. 5G 모델로 발매하면 일부 대리점이나, 판매 업체는 5G 요금제로 유도할 것이다. 물론 해당 스마트폰이 3G 4G LTE 다 쓸 수 있지만 기왕이면 5G 지원 기기이니 5G 쓰라고 하겠지.
대한민국 국민이 다들 삼성전자 임원급 처럼 5G쓰고 여유롭게 통신비 쓰고 잘산다고 생각한것일까?
항상 아이폰의 디자인과 애플을 따라가는 듯한 느낌을 받은 나에게 삼성에서 왜 이런 악수를 두었는지 나는 알리가 없다.
또한 이번 갤럭시 노트20 울트라에만 들어가있는 마이크로 SD 추가 확장을 갤럭시 전체 제품에 넣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고, 듀얼 유심 기능까지 가능하도록 한다면 갤럭시가 아이폰과 한판 붙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말그대로 갤럭시는 무한한 우주처럼 아이폰의 폐쇄성에 비해서 소비자가 원하면 무한한 확장성을 보여주는 것이 방향이다. 이것을 본 블로거가 굳이 말해줘야하는 것일까? 다음 나오는 차기 갤럭시 시리즈에는 이와같은 장점들을 부각시키고 아이폰을 충분히 견재하면 좋을 것 같다.
이러한 점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이유는 삼성전자를 더욱 사랑하고 우리기업이 잘되었으면 하는 이유이다. 갤럭시 S4부터 노트 8까지 삼성전자를 공개적으로 지지해오고 써오던 블로거로써 말이다.
끝으로 갤럭시 Z폴드 2 같은 경우 접는 방식의 스마트폰으로 기술적으로 혁신과 차별성을 둔 스페셜 상품이기에 논외로 평가할 것이다.
사진. 삼성전자.
갤럭시 탭 S7 / 탭 S7 +
탭 S7과 탭 S7+는 미스틱 블랙, 미스틱 실버, 미스틱 브론즈 세 가지 컬러로 8월 21일부터 전 세계 시장에서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8월 18일부터 사전 판매가 진행되며, 9월 3일 공식 출시된다. 가격은 탭 S7 기준 와이파이 모델6백49 달러, LTE 모델 7백49 달러, 5G 모델은 8백49 달러다. 탭 S7+는 와이파이 모델이 8백49 달러, LTE 모델이 9백49 달러, 5G 모델이 1049달러.
갤럭시 워치 3
41mm와 45mm 두 가지로 제공된다. 워치3는 8월 6일 LTE와 블루투스 모델로 출시되며, 가격은 LTE 모델 45mm가 52만8천 원, 41mm가 49만5천 원이며, 블루투스 모델 45mm가 47만3천 원, 41mm가 42만9천 원이다.
버즈 라이브
새롭게 공개된 갤럭시 버즈 라이브(이하 버즈 라이브)는 무엇보다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시선을 끈다. 세 가지 컬러의 버즈 라이브는 인체공학적인 이어버드 디자인 설계 덕분에 착용했을 때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보석함에서 영감을 얻은 케이스 또한 이어버드에 비해 작은 크기와 깔끔한 디자인으로 휴대가 편리하다.
버즈 라이브는 개방성을 통해 착용감이 향상됐을 뿐 아니라 오픈형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지원해 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한 음악 감상 경험을 제공한다. 오픈형의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은 먹먹함 없이도 차와 버스 등 저대역 배경 소음을 최대 97%까지 감소시켜 주면서도 생활 속 대화나 안내 방송 등은 들려주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소음 감소 효과라고 할 수 있다. AKG와 삼성의 합작 연구로 12mm의 큰 스피커와 베이스 덕트를 통해 풍부한 소리를 내보내고, 3개 마이크에 추가된 보이스 픽업 유닛으로 통화 품질도 향상됐다.
버즈 라이브는 단 5분 충전으로 1시간 동안 재생이 가능하고, 이어버즈와 케이스가 모두 완충되었을 경우 최대 6시간, 충전 케이스까지 합치면 최대 21시간 재생이 가능하다. 그 밖에 다른 갤럭시 기기와의 호환을 통한 활용법도 다양하다. 노트 20로 동영상 촬영 시 촬영하는 사람과 멀리 떨어져 있다면 버즈 라이브를 무선 마이크로 활용해 소음 없이 오디오를 녹음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명령만으로 바로 AI 빅스비를 호출해 스마트폰 조작 없이 날씨 확인, 음악 재생, 메시지 발신 등이 가능하다. 버즈 라이브는 미스틱 브론즈, 미스틱, 화이트의 세 가지 색상으로 8월 6일 출시되며, 가격은 19만8천 원이다.
갤럭시 Z 폴드 2
방탄소년단이 짤막한 언박싱 영상으로 소개된 Z 폴드 2.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커버 디스플레이에 지난 모델과 달리 6.2인치의 풀 디스플레이가 사용된 점. 메인 디스플레이도 전작보다 커진 7.6인치로 만들어졌다. 보다 향상된 하이드어웨이 힌지와 스위퍼 기술이 적용됐다는 점 또한 공개됐다. 갤럭시 Z 폴드 2의 출시 일정과 가격 등 자세한 사항은 9월 초에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