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8C 유럽>

 

 

 

 

이번에는 러시아 최후의 여제이자

절정기의 황제였던

예카테리나 2세에 대해

알아보자

 

1. 표트르 대제의 유산

 

러시아의 계몽군주이자 절대군주라 불리는

표트르 대제의 집권기로 인해

러시아는 비약적으로 발전을 하게돼

서방식 문화의 유입은 물론이고

서구식 모델을 기초로 한 강력한 군대도 같게 되었지

그뿐만 아니라

북방의 맹주였던 스웨덴을 물리침으로써

새로운 북방의 맹주로 떠올랐어

표트르 1세 사후에도

이런 기초는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었지

 

<표트르 대제>

 

뭐 표트르 대제의 손자인 표트르 2세가 조부의 개혁을

전부 취소하고 나셨지만 갑자기 노짱을 따라 운지하고 말아

이에 로마노프 직계가 단절되고 말아~

그 뒤 안나 여제, 엘리자베타 여제의 통치 시기로 이어가게돼~

러시아 역사에서 안나 여제부터를 여제의 시대라고 부르기도해

하지만 엘레자베타 여제 마저도 후사없이

사망함으로써

다음 러시아의 제위는 독일의 제후로 있던 카를 울리히에게 돌아갔어

이가 바로 표트르 3세야

 


 <표트르 3세와 그의 가족>

 

엘리자베타 여제가 죽음으로써 표트르 3세는 러시아의 새로운 차르로

즉위했어

하지만 친프로이센 정책만 고수하는 호구짓 때문에

결국엔 재위 6개월만에 그의 아내에 의해서

폐위당하고 말아

 

그리고 새롭게 재위에 오른 여인이 바로

표트르 1세 다음으로 러시아에서 가장 존경받는 황제인

예카테리나 2세야~

<예카테리나 2세>

 

당시 예카테리나 2세도 독일에서 왔지만

스스로가 러시아인이 될려고 무지 노력을 하였고

그 노력의 결과로 러시아에서 엄청난 지지를 받게 되었어

 

남편의 실정을 두고 볼 수 없었던 그녀는

1762년 근위대를 이끌고

황궁으로가 표트르 3세를 몰아내~

표트르 3세는 폐위된지 8일만에 암살되고 말아~

 

 

<젊은 시절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 <1729~ 1796>

 

2. 1차 폴란드 분할

 

예카테리나 2세 즉위 후 

폴란드에 군대를 파견해

강력한 압력을 행사해서

폴란드를 보호령으로 만들어 버렸지

이른바 1차 폴란드 분할이 시작되었어

 

<1차 폴란드 분할>

 

이런 예카테리나 2세의 정책에 격분한

폴란드의 주교 아담 크라신스등 주교들은 폴란드 국왕과

협력하여 바르 동맹을 창설해 러시아에 대항하기 시작해

이에 예카테리나 2세는 격분하여 군대를 파병해

바르 동맹군을 진압하기 시작해~

바르 동맹도 끝까지 저항했지만

결국 패배하여 강제 시베리아행으로 직행했어

 

그리고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와 협상을 통해

각각 폴란드의 일부분을 분할했어

 

<예카테리나 2세>

 

3. 명장 알렉산드로 수보로프

 

알렉산드로 수보로프 <1729 ~1800>

 

모스크바 귀족가문에서 태어난 수보로프는

7년 전쟁에 참여하면서 서서히 두각을 드러내

특히 바르 동맹의 반란에 대한 진압 과정에서 재치있는 전술로

이름을 날리기 시작했어

물론 상관의 명령 불복종이 심하다는 비판도 달고 다녔지만

 

그의 능력을 눈여겨  보던 예카테리나 2세는 그를 총애했고

여왕과 장군은 주군과 신하 관계를 떠나 친우가 되었어

 

 

<예카테리나 2세와 수보로프>

 

그의 진가가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1차 러시아-투르크 전쟁에서 였어

 

당시 러시아는 세력 확대를 위해

남진 정책을 고수 하고 있었는데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오스만의 무스타파 3세는

크림 반도의 타타르족을 이용해

러시아에 선제 공격을 감행해

이렇게 시작된 전쟁에서

 

수보로프는 2번의 기습 작전을 성공시키고

코즐루카 전투에서

8000의 병력으로 4만의 오스만군에게

궤멸적인 타격을 입혔어

이 전투로 인해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에 영토 양도를 조건으로 협정을 맺어야 했어

 

<코즐루카 전투와 1차 전쟁 후 크림 반도>

 

오스만 제국과 전쟁이 한창이던 1773년

농노제 중심의 체제에 불만이 많던

푸카초프 농민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어

이에 놀란 예카테리나 2세는 일시적으로

오스만군과 전투를 중단하고

수보로프를 진압에 파견하였지

 

수보로프에 의해 푸카초프는 우랄산맥으로 몰리고

살렙타에서 패하면서 포로로 잡히게 돼

수보로프는 모스크바로 그를 압송했고

군중들이 보는 앞에서 처형했지

이 사건은 앞으로 예카테리나 2세가 현실적 계몽군주로

변하는데 계기를 줬어

 

<군대 행진>

 

예카테리나 2세의 연인이었던 프레스키 포튬킨은

크림 반도에 자리잡은 크림 한국의 병합 계획을

예카테리나 2세에게 제출했어

그녀는 즉시 승인하였고

포튬킨은 즉시 크림 한국을 병합하였지

 

< 크림 한국 병합>

 

이에 오스만의 새로운 술탄 압둘 하미드 1세는

조약을 파기하고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해~

제 2차 러시아- 투르크 전쟁의 시작이지

 

<삼각주 전투>

 

2차 전쟁에서도 수보로프의 활약은 대단했어

킨부른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데에 이어

림니크, 폭샤니 전투에서도 대승을 거두었어~

그리고 결정저으로 이스마일 요새를 함락시키는데 성공했어

 

이때 유럽 대륙은 나폴레옹 전쟁에 휘말려 있어

러시아- 투르크 전쟁에 신경 쓸 겨를이 없었어

이런 상황으로 인해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의 크림 한국 병합을 인정하며

굴욕적인 조약을 맺게돼~

 

 

<이스마일 요세 전투와 림니크 전투>

 

오스만 전쟁이 끝나고 난 후

예카테리나 2세는 전 유럽이 나폴레옹 문제에

집중하는 사이에

폴란드에 대해 2차 분할을 감행해~

 

<폴란드 2차 분할>

 

<1차~3차에 이른 폴란드 분할>

 

코시치우슈코의 반란을 계기로 결국 폴란드는

3차에 다다른 러시아-프로이센의 분할로 인해

결국엔

국가가 사라지게 되~

 

4. 예카테리나 2세의 죽음과  명장의 마지막 행군

 

1796년 러시아의 여제 예카테리나 2세가 승하했어

자신의 주군이며 친우였던

그녀의 죽음에 수보로프는 절망에 빠졌어

거기다 설상가상으로

예카테리나 2세의 아들 파벨 1세에 의해 해임되고

자신의 영지에 칩거하게돼~

 

<여제 예카테리나 2세와 파벨 1세>

 

하지만 칩거도 잠시

1799년 제 2차 대프랑스 동맹에 러시아도 참여하게 되면서

파벨 1세는 수보로프를 다시 사령관에 임명해

이탈리아로 파견했어

 

<재임명 된 수보로프와 스위스 원정대>

 

스위스로 파견된 수보로프는

트레비아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어

샤르테나 국왕으로 부터 공작의 직위를 받게 돼~

 

<고탕르 고개를 넘는 수보로프 원정대>

 

하지만 전황이 바뀌기 시작했어

코르사코프가 이끄는 러시아군이

프랑스의 마세나에게 취리히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어

설상가상으로 오스트리아가 나폴레옹군에게 항복을 하면서

수보로프는 이탈리아에서 고립되고 말았어

철군과 전사의 선택 기로에

수보로프는 결국 알프스 산맥을 넘어 철군을 결정해

 

<수보로프 알프스를 넘다>

 

수보로프가 알프스를 넘는다는 소식에

마세나는 추격을 했지만

수보로프의 매복 전술이 두려운 나머지

결국 추격을 포기하고 말아

 

별다른 피해없이 알프스를 넘는데 성공한 수보로프는

러시아에서 마지막이자 4번째 대원수에 올라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복귀한 수보로프는 개선식을 준비했으나

궁정의 음모로 인해 무산되고

파벨 1세는 그의 면담 요청마저 거절하면서

그를 압박했어

결국 수보로프는 그 해에 시름시름 앓다가

숨을 거두고 말아~

 

파벨 1세 이후 즉위한 알렉세이 1세는

그를 영웅으로 추대하고 동상을 세워주었어

 

그리고 수보로프의 제자 미하일 쿠투조프는

나폴레옹 전쟁에서 큰 승리를 거두며

나폴레옹 몰락에 1등 공신이 되었어

<미하일 쿠투조프>

 

1줄요약

예카테리나 2세와 알렉산드로 수보로프로 인해 러시아 짱짱맨!

 

다음편은 아마도 스페인왕위계승 전쟁의 영웅인

말버러 공작에 대해 풀어볼게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