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oogle maps)

 

세계지도 하면 대부분 위에 지도를 떠올릴텐데 

 

사실 이 지도는 왜곡된 세계지도임. 

 

갑자기 이게 무슨 개소리냐?라고 할 게이들을 위해 설명 해봄 

( 잘 아는 게이들은 그냥 넘겨도 됨 ) 

 

간단하게 지구본을 보면 이해가 될텐데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평면이 아닌건 세살 아기도 아는 사실이지?

 

 

그런데, 이 평면이 아닌 지구를 평면인 지도로 옮길려니 

 

왜곡되는 문제가 생기는거임.

 

그래서 많은 지도법이 고안되었는데,

 

역사적인 배경을 설명하자면 

 

중세시대 선장들은 항해를 해야 되는데 

 

지도가 왜곡되면 죽으러 가는거 밖에 안되는 일이 되어버릴 정도로 

 

 지도는 항해하는데 정말 중요했음

 

(일본까지 갈 수 있었던 네덜란드 함대)

 

이때 1569년 네덜란드의 게르하르두스 메르카토르라는 사람이 

 

메르카토르도법 지도를 발표하게 됨. 

 

이 지도는 항해하는데 아주 적합하고 정확한 지도 였음

 

그래서 모든 선장들이 이 메르카토르 지도를 쓰게 되었고 

 

많이 쓰이다 보니깐 지금의 대표적인 세계지도 자리를 얻게 된거임.

 

다만, 항해하는데 정확한건 좋은데 

 

적도에서부터 고위도로 갈 수록 

 

 

축적이 왜곡되어 고위도에 있는 땅들이 실제 크기보다 크게 보이는 왜곡이 생기게 됨. 

 

이 왜곡을 바로 잡은 지도가 있는데 

 

 

바로 페터스 도법임. 

 

이게 실제 세계 땅들의 크기임. 

 

아프리카가 존나 커지고 우리가 엄청큰줄 알았던 러시아는 바람빠진 풍선처럼 줄어들음.

 

또한 유럽이 진짜 좆만한다는걸 알게 될꺼임 

 

그리고 '그린란드'가 큰줄 아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 사우디 아라비아와 비슷함 ㅋㅋㅋ 

 

 

 

사실 알레스카는 멕시코보다 작고 

 

 

유럽 전체는 남미 대륙보다 더 작고 

 

 

우리가 왜곡되어 보는 아프리카의  콩고 민주공화국 크기는 사실  서유럽 거의 전체 크기와 비슷하다는점.

 

 

 

 

 

바로 주황색이 실제 콩고 민주공화국 나라 크기임ㅋㅋㅋㅋ 

 

서유럽 전체와 거의 맘먹을 정도로 큼. 

 

 

 

 

 

 

 

마르카토르 도법이 아프리카 대륙 크기의 왜곡이 심해서 작게 보는 사람들이 많은데 

 

나라가 크다는 미국, 중국, 인도, 동유럽 전체가 들어갈정도로 큼.

 

하지만, 페터스 도법은 대륙 크기를 현실성있게 보는 것말고는 효용성이 없는 지도임.

 

지도의 중요한 길찾기 기능 즉 방위를 계산 할 수가 없음 ㅋ 

 

그냥 이렇구나 라는 것만 알면 됨. 

 

 

3줄요약.

 

1. 우리가 보는 메르카토르 도법 지도는 왜곡됨.

 

2. 페터스가 그나마 나라크기를 잘 보여줌

 

3. 하지만 페터스 도법은 지도로서 효용성이 없음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