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 살펴볼 것은 우주에 놀러갔다 온 우주돼지의 얘기가 아닌

5,600만 킬로미터가 떨어진 화성에 가서 1년은 거주할 진짜 우주인과 그 우주선에 관한 내용이다.

히키 성향의 일게이들 입맛에 잘 맞을 것 같으니 화성에 관심있는 게이들은 잘 보길 바란다.

 

 

일게이보다 이미 화성에 가 있는 애가 있으니

 

바로 화성 탐사선 큐리아서티이다.

 

 

 

 

 

하지만 단순히 로봇을 보내는 것과 사람을 보내는 것은 천지 차이라고 한다,

 

 

(나도 사진만 보고 우습게 봤는데, 실제는 차 한대 크기라고 한다.)

 

 

 

 

이곳은 천조국 나사

 

 

 

 

 

 

 

 

 

 

화성으로 갈 로켓을 찾으로 가보자

 

 

 

 

 

 

 

화성으로 가야되기 때문에 기존 로켓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으리으리하다

 

 

 

 

 

 

 

 

높이가 가늠이 되냐?

 

 

 

 

 

로켓이 완성되면 미국의 자유의 여신상의 크기와 같아지게 된다고 한다.

 

 

 

 

 

 

 

 

 

 

 

 

뒤 이어 찾은 곳은 로켓의 제일 밑바닥에 있을 연료통.

 

 

 

 

 

 

 

 

 

이것도 역시 으리으리하다

 

 

 

 

 

 

 

 

이런게 10개가 붙어야 한다고 한다.

 

 

 

 

 

 

 

 

 

 

 

 

 

 

 

 

 

 

 

연료통의 벌집 질감 보이노? 저렇게 벌집구조로 만들면 가벼우면서도 충격에 강하다고 한다

 

 

 

 

 

 

 

다음 찾을 곳은 로켓 엔진 테스트 장

 

 

 

 

 

 

 

 

 

 

 

 

 

 

차랑크기와 대조해보면 엄청난 크기가 보일 것이다

 

 

 

 

 

 

 

 

이게 점화장치. 이런 놈이 6개가 달라붙어야 로켓을 띄울 수 있다고 한다

 

 

 

 

 

이 기중기 보이냐? 

무려 1억 520만 파운드의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다고 한다.

 

 

 

 

 

 

 

 

 

 

 

 

 

완성된 로켓의 모습

 

 

 

 

이런 놈이 6기가 동시에 발사된다. (자원, 물자용)

 

 

 

 

 

 

화성의 모습 

무려 5,600만 킬로미터 거리(달의 140배) 에 가는데만 2년 

 

 

 

 

 

 

 

 

 

 

 

 

 

사실 달에 가는 우주인을 뽑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엘리트 중의 엘리트 중에 육체적으로 강인한 사람을 뽑으면 된다

 

 

 

 

하지만 화성은 그래서는 곤란하다 (가는데만 수년이 걸리기 때문에 히키생활에 잘 버틸 수 있어야 한다)

 

 

 

보이는 것이 화성생활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가상의 시설 (520일 체류용)

 

 

 

 

 

 

 

 

 

 

5명이 웃으며 들어갔지만, 2명만이 정상으로 나올 수 있었다.

 

 

 

 

 

 

 

 

 

 

 

 

 

 

나머지는 불면증에 우울증이 발생

 

 

 

 

 

 

 

 

 

 

 

 

 

 

화성에 가는데는 강인한 육체보다는 밀폐된 공간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잘 생활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실험.

 

 

 

 

 

 

긴 우주 생활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한다 (와 팔뚝 보소)

 

 

 

 

 

 

이 실험에서 실험자들은 계속 누워있어야 한다. (현실에서 체험할 수 있는 우주의 저중력과 가장 비슷한 환경이라 함)

 

 

 

 

 

 

 

 

 

하루종일 누워있고, 밥도 먹고 한다

 

 

 

 

"침대에 누워 똥을 싸면 아주 기분이 새로와요" (신세계노?)

 

 

 

"당신도 해봐요ㅋㅋ"

 

 

 

 

 

누워서 샤워도 하고, 아침도 먹고

 

 

 

 

 

 

점심 먹은 뒤 테스트에 끌려간다

 

 

 

 

 

 

 

 

 

지금 하고 있는 테스트는 운동 테스트이다

 

 

 

 

 

 

 

 

 

 

잘 보면 달리는 위치가 요상하다

 

 

 

 

이런 테스트를 하는 이유는 저중력 생활을 오래 한 사람들은 신체적 능력이 많이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소유즈에서 내린 이 우주인은 2주동안 일어나지도 못했다고 한다.

 

 

하지만 화성에서는 부축해줄 사람도 없다.

 

 

 

그런데 3년 걸려 가는 화성은 더 말해 무엇 하겠냐

 

 

 

 

특히 인간은 중력이 없이는 근육과 뼈의 성장이 멈춘다고 한다

 

 

 

 

 

"테스토스테론을 투여 했더니 나아졌습니다."

 

 

 

 

 

 

 

 

 

 

 

 

 

근데 문제는 여자.

 

여자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을 투여하게 되면 남자같이 변함

 

 

 

 

 

 

 

 

 

 

 

"그래서 적당한 양을 시험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우주에 떠나게 되면 또 한가지 문제

 

 

 

 

 

심리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오랜시간 고립된 공간의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신적 문제

 

 

 

 

 

 

우주인의 심리상태를 기계가 얼굴인식을 통해 모니터 한다고 한다.

 

 

 

 

 

이건 무표정

 

 

 

 

기계가 무표정으로 판단한다

 

 

 

 

 

 

이건 긍정적

 

 

 

 

 

 

 

 

 

 

 

 

 

 

역시 기계가 판단

 

 

 

 

 

부정적도 역시 기계가 판단

 

 

 

 

 

 

 

앗따  박사님 그걸 딱 보면 알 수 있는디, 뭣 하러 기계까지 쓰는거쇼?

 

 

"니가 3년동안 30초마다 계속해서 옆에 놈 표정이 어떤가 감시하고 있을래?"

 

 

 

 

 

 

 

 

 

 

 

 

 

 

 

 

우주에서도 먹고

 

 

 

 

 

 

씻고

 

 

 

 

 

 

 

 

 

 

 

 

 

 

 

 

 

 

 

 

빨고

 

 

 

 

 

 

 

 

 

 

 

 

 

 

 

 

 

 

 

 

 

 

 

 

 

 

 

 

 

 

 

깍아야 한다

 

 

 

 

 

 

 

 

 

 

 

 

 

 

 

 

"지금 보시는 곳이 똥싸는 곳입니다."

 

 

 

 

 

 

 

 

 

 

 

 

 

 

 

 

 

 

"매우 투입구가 작기 때문에 조준을 잘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건 오줌 싸는 곳. 대고 싸면 됩니다."

 

 

 

 

 

 

 

 

 

 

 

 

 

똥을 닦을 때 쓰이는 휴지와 

 

 

 

 

 

 

 

 

 

 

 

 

 

 

 

 

 

 

 

 

 

 

 

 

 

 

 

 

똥이 날아갈 때를 대비한 장갑 

 

 

 

 

 

 

 

 

그리고 똥을 지릴 경우를 대비해 기저귀를 비치하고 있습니다

 

 

 

 

 

 

 

그럼 물은 어떻게 조달할까? 

 

화성으로 가는 500여일 동안에 필요한 물은 무려 4톤

 

그걸 다 싣고 갈 순 없잖아?

 

 

 

그래서 이걸 재활용한다

 

 

 

 

 

 

 

오줌

 

 

 

 

 

 

정화를 거치면...

 

 

 

 

 

 

 

 

 

 

 

먹을 수 있는 물이 된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똥입니다."

 

"누군가는 똥은 그냥 배출하면 안됩니까? 하겠지요"

 

 

 

 

 

 

"이미 궤도에 들어선 비행체는 배출한 똥도 같이 비행하게 됩니다. 비행체 뒤에 똥구름이 드리워 지겠지요"

 

 

 

"지금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중입니다"

 

 

 

 

 

 

 

 

 

 

 

 

 

 

 

 

 

 

 

 

 

 

 

 

 

 

 

그럼 어렵사리 화성에 도착한 다음, 화성 지표면에 어떻게 착륙하는지 알아보자.

 

 

 

 

 

 

이미 큐리아서티를 통해 화성착륙에 성공한 박사의 얘기를 들어보자

 

 

 

 

 

 

 

 

 

 

 

"큐리아서티와는 달리 사람을 태운 비행체는 10배 이상의 무게라고 가정해야 합니다."

 

 

 

 

 

 

 

 

"큐리아서티는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와 공기저항을 받아 천천히 착륙하지만 화성우주선은 훨씬 무겁죠"

 

 

 

 

 

 

 

"따라서 이렇게 길쭉하게 만들고, 수평으로 착륙하게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화성의 자주 일어나는 모래폭풍도 문제다.

 

 

 

 

 

 

 

 

 

 

그래서 개발된 것이 화성 우주 탐사복

 

 

 

 

 

 

 

기존의 우주복으로는 떨어진 망치조차 집기 힘들다

 

 

 

별 지랄을 하지만 못 짚는다

 

 

 

 

 

 

 

 

하지만 신형 우주복은 간단히 집는다

 

 

 

 

 

 

 

 

 

거기다 기존의 활동이 불편한 우주복에서

 

 

 

 

 

 

 

 

 

 

 

팔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허리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쭈그리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부터 이어지는 사진들은 화성에 도착한 우주인들이 기지를 세우는 과정이다.

 

 

 

 

 

 

 

 

 

 

 

 

 

 

 

 

 

 

 

 

 

 

마지막 난관은 과연 화성 우주인들이 연구를 마치고 지구로 귀환할 수 있는 가의 문제가 남아 있다

 

 

 

 

달의 경우는 가깝기 때문에 가능했다.

 

 

 

 

"만약 우주인들이 생환을 하지 못한다면 이 프로젝트의 의미자체가 없습니다. 우리는 해내고 말 것입니다"

 

 

 

 

"우리가 화성 탐사에 더 많은 노력과 자원을 투자 한다면 앞으로 10년안에 우리는 화성을 갈 수 있습니다"

 

 

 

 

 

 

"전 확신합니다."

 

 

 

 

 

"문제는 과연 그럴 의지가 있느냐이죠"

 

 

 

 

계획대로라면 화성탐사선은 2033년에 출발한다고 한다. 

지금 10-20대들이 화성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될 것이고,

참가자들은 다국적 국민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2033년 쯤 되면 우리나라 선진국 되어 있을까?

 

<끝>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